10대 그룹 임원 2명 중 1명 ‘SKY 출신’ 또는 ‘유학파’
작성자 관리자
국내 10대 재벌그룹 대표 계열사 임원 2명 중 1명은 소위 ‘SKY(서울·고려·연세대)’ 출신이거나 유학파인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재벌닷컴 자료를 보면 2013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국내 10대 재벌그룹 대표 기업 10개사 임원 2483명 가운데 최종 출신학교 기준으로 서울·연세·고려대 출신이 594명으로 전체의 23.9%를 차지했다.

khan_3vuknz.jpg

서울대 출신 임원이 254명(10.2%)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와 연세대가 각각 174명(7.0%), 166명(6.7%)이었다.

해외대학 출신 임원도 562명(22.6%)이었다. SKY와 유학파 출신이 전체의 절반에 달했다. 또 부산대(133명·5.4%), 한양대(120명·4.8%), 성균관대(120명·4.8%), 경북대(107명·4.3%)가 100명 이상의 임원을 배출했다. 전문대 출신은 8명(0.3%), 고졸 출신은 11명(0.4%)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LG전자, 롯데쇼핑, 포스코, GS건설, 현대중공업, 대한항공, 한화케미칼을 각 그룹 대표 계열사로 했다.

해외 진출에 주력하는 기업들에서 유학파를 선호했다. 삼성전자는 해외대학 출신 임원 비율이 27.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서울대 10.3%, 연세대 7.4%, 성균관대 6.9% 순이었다. LG전자는 전체 임원의 38.5%가 해외에서 학위 과정을 이수했고, SK하이닉스도 유학파가 21.4%였다. 내수시장에 주력하는 롯데쇼핑과 GS건설의 해외대 출신 임원 비중은 각각 12.0%, 18.6%였다.

생산공장 등이 영남권에 많은 범현대가 대표 계열사에서는 영남권 출신 비중이 높았다. 현대차에서는 유학파를 제외하면 부산대 출신이 12.1%로 최대 학맥을 이뤘다. 현대중공업도 해외대학 출신을 제외하면 부산대(17.2%), 울산대(9.9%), 영남대(7.9%) 출신 순이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